대통령 당선 후 100후에 국민 지지율이 가장 높았던 대통령은 14대 대통령인 '김영삼' 정부 였다. 지지율이 무려 83%에 이른다. 처음 열리는 문민정부 이었기에 그리고, 한국의 금융시장이 아직 개방 전으로 투기 자금들이 한국을 약탈하기 전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본다. 두번째로 지지율이 높은 정부는 '문재인' 정부이다. 무려 78.6%였다. 이때만 하더라도 '박근혜' 정부의 혼란함을 수습하고, 동시에 적폐를 청산하려는 노력과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정규직화를 추진하는 등의 노력으로 인한 결과라고 보여진다... 현재 '문재인 정부'의 지지율은 61.7% 정도이다. 5주째 하락중이라고 한다. 하락중인 이유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수 있다. 그렇지만 5주연속 하락 중이라는 것은 분명한 문제가 있다고 본다. 개..
구글에서 '듀플렉스'라는 보다 진화된 AI 시스템을 소개 했습니다. 1:10분 부터는 AI가 미용실에 전화를 걸어 예약을 하는 모습이 나옵니다.헐...Mm-hmm상대의 말에 느낌까지 말할 줄 아네요... 저는 예전에 AI 스피커들이 나오기 시작했을 때부터이미 우리 시대는 텍스트에서 음성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세대가 아닐까 하는 말을 한적이 있습니다. 2017/09/22 - [어느 주식투자자의 회상] - 카카오 미니를 보면서 느낀점. 부제: 우리는 새로운 방식의 등장을 경험하고 있는 것인가? 처음에는 타자기 부터 시작해서 DOS시절의 자판까지소위 '텍스트' 시대에서 부터, 마우스의 등장으로현재 대세를 이루고 있지만,앞으로는 '음성인식'이 대세가 될것이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시대의 흐름은텍스트 -> 마우..
역시나 요즘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터키'를 중심으로 여러 최신 뉴스들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역시나 아직 '터키'에 대한 우려섞인 시선이많은 상황이네요.. 오늘 블룸버그 뉴스를 보면 '터키'는 자동차 용품에서 알코올까지 수입되는 미국산 제품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추가 관세를 부과 하겠다고 하네요. 대표적인 예로 미국산 쌀에 50%, 술에 140%, 자동차에 120%의세금을 부과 한답니다.역시 뚝심의 '터키' 입니다.. '터키'의 리라화를 피해서 달러로 이동 하다보니달러 강세로 금의 상승이 압박을 받는다고 하네요. 유럽의 가뭄으로 곡물 가격이 높아질 것으로예상 된답니다.농산물 ETF에 투자하신 분들에게는 희소식입니다.ㅋ 동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9월1일 이전에 미국과 중국의 물밑 협상 결과가..
저도 가끔씩 헷갈리기도 하는 문제입니다. 까먹을때마다 보고 또 보고 해야 겠네요...
아래글은 중국 길림대 경제대학원 원장인 '리샤오' 교수가 지난달 30일 졸업 연설에서말한 글이랍니다. 허허허...조금 긴 글이었지만 감탄을 금할수가 없네요... 왜 한국에는 이 정도 수준의 지성인이 드문것인지에 대한 안타까움과, 오늘날 한국이 왜 중국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지에 대한답변이 되는 것 같아서 씁쓸함이 공존합니다. 물론 중국인이기에 중국의 시각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통찰력과중국의 미래를 제시하는데 있어서전혀 부족함이 없는 글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최근에 읽어본 글 중에서는단연 최고의 문장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갑자기 중국이 무서워집니다...삼국지로 비유한다면 최소 '간옹' 이상의인물은 되시는것 같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입장에서 볼때에이런 인물은 무조건 끌어 내려..
'뉴스타파'를 보면 참으로 대단하다고 생각 해.정말 외압에 굴복하지 않는 몇 안되는 언론이라는생각이 절로 들게 하거든... 사실 '분양가 심사위원회'의 문제는 예전부터 제기 되었지만...강제로 다 묻혔지...(-_-);; 위원이 누군지도 모르고, 어떻게 결정 되었는지도 모르고...결정 사항도 뭔지 모르고... 솔직히 이게 말도 안되는 것이지만...왠지 한국에서는 당연한 것처럼 이어져 왔다는 것...왜냐면 호구인 입주자만 빼고 모두에게 다 이익이거든...ㅋㅋ; 한국에는 아직도 '이완용'은 저리가라 하는수준의 매국노 놈들이 너무 많어...그래서 망할거야...ㅎㅎ; 의문을 제기해도 쌩까고, 묻히고...정당한 요구도 나 몰라라 하고... 공무원의 사명감을 갖고 자기 직책에서이의제기를 하고, 고치려 들면...바로..
헐...저도 어릴때는 김치찌게에 여러명의 숟가락을담구면서 먹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식습관이 바뀌고...요즘에는 그런 사람들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그런 자리에서는 저는 아예 먹지를 않거든요...물론 친구들끼리는 예외로...;; 그런데 씨푸드 전문 뷔페로 유명한 '토다이'에서음식물을 재 사용하는 어의없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더 큰 문제는...'토다이'측에서 문제가 알려지고도 '위생에는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내 놓은 겁니다... '토다이'측이 위와같은 시각을 가지고매장들을 운영하고 있는것은 우려할만 합니다. 진열된 음식만 재 사용 했다고 하지만...솔직히 개인적으로는 손님이 남긴 음식물로도어떻게 했을지 못 믿겠네요... '토다이'정도의 업체가 저런 시각이면...나머지 다른 업체들의 시각 또한 뻔..
제가 찾은 괜찮은 유튜버 분중에서요즘에 점점 잘나가고 계시는 [J_VT]님의 동영상을 링크 했습니다. 연준의 구성 및 투표권 행사에 관한 좋은 정보네요. [L_TV]님의 다른 동영상들도 모두 시청하고 생각해 볼만한정보를 제공하고 계시네요... 개인적으로 이런 분들이 더 많이 계셨으면 좋겠습니다..다양한 의견과 정보는 저를 더욱 풍요롭게 한답니다...ㅋ
요즘 '터키'가 연일 뜨겁습니다. 리라화의 가치가 매일 폭락하고 있네요... 이건 뭐... 디폴트가 얼마 남지 않은것처럼 보이네요...헐... 터키의 GDP는 세계에서 1%내외 밖에는 차지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렇지만 이 조그만 1%가 '트리거'의 역활을 하게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듯 합니다. 아니...이런 된장... '터키'가 '코스피'하고 무슨 그리 큰 관계가 있길래 오늘 '코스피', '코스닥'이 죽을 쑤는 걸까요? 헐...오늘만 코스닥 인버스 수익률이 4%입니다..;;; 오늘 일이 있어서 여기저기 돌아 다니다가 집에 오는길에 스스로를 축하 해주자는 생각에 중국집에서 중국식 냉면을 먹었는데... 별로였습니다...x_-.. 각설하고 '터키'의 금융위기가 유럽의 은행들의 위기로 번질까봐 전전긍긍 하고..
지구상에서 가장 이상한 전기세 구조를 갖고 있다는한국의 전기세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서 살펴보면 17년도를 기준으로실제 주거용 전기는 전체 전기 사용량의 13.1%밖에 안된다. 전체 전기 사용량 중에제조업이 51%를 사용하고 있고서비스업이 27.8%를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각각의 전기요금 단가를 살펴볼까나... 일반 주거용 전력요금 단가이다.(사용량: 13.1%) 일반용 전력이다. 주로 서비스용에 해당한다.(사용량: 27.8%) 산업용 전력이다. (사용량: 51%) 단가 차이가 어마어마 하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뉴스에 의하면 15년도에 Kwh당 100원선이 붕괴 되었다고 하는데...14년도에는 145원 선이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현재의 전기 생산 단가는 어떻게 될까? 현재는 ..
중국은 1949년 10월 1일에 '마오쩌둥' 이라는 걸출한 인물이 나와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설립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이라는 운동을 펼치면서 수천만명이 '아사'로 죽어 나갔죠... 아마도 지금까지 중국인들에게 위 2가지 운동을 거론하는 것은 금기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 되네요. 마치 온라인 게임에서 '타이완 넘버 원'이라고 외치는 것처럼 말이죠... 그 이후에 등장한 '덩샤오핑'은 '인민들이 배불리 먹을수 있다면, 자본주의나 공산주의가 중요하지 않다. 가난은 사회주의가 아니다.'라는 '덩샤오핑 주의'를 표방 하면서 자본주의를 받아 들이게 되었고, 그렇게 발전하면서 자신감을 얻은 중국은 미국과 자웅을 겨룰수 있는 위치에 서 있음을 대외적으로 표방합니다... 그때부터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