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IHQ에 대해서 잠깐 쓴 글이 있습니다. 그 뒤로 하락해서 면목이 서지 않았더랬죠...휴~ 그래서 오늘 글도 정확성 보다는 그냥 썰로서 이해하시고 재미로 봐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불과 10여년전만 해도 '플랫폼'이라는 말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예를들어 '카카오', '구글', '아마존', '애플'... 좀 큰다 싶은 기업들은 하나같이 꽉 잡고 있는 그 무엇인가가 있었죠. '카카오'가 '카카오톡', '애플'은 아이폰이라는 생태계를, '구글'은 검색과 안드로이드 등등으로 말이죠... 그리고 '컨텐츠'는 그냥 하청 비스무레한 것으로 취급 받았습니다. 그러던 차에 세계의 글로벌 기업들이 모두 미디어 기업임을 표방하기 시작하며 인수합병에 열을 올리기 시작합니다. 특히나 'IHQ'의 5%지분을 갖고 있는 ..
미래의 화두는 'AI'가 대세이다. 라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알고 있습니다. 이분야에서 특히나 투자에 열을 올리는 분이 계신데요. 소프트뱅크의 창업자인 '손정의' 입니다. 보다 정확하게는 '손 마사요시'라고 불러야 겠지요. 그리고 얼마전에는 청와대에서 브리핑도 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손 마사요시'는 왜이리 'AI'를 강조하는 것일까요? 당연하죠... 그 분야에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으니까요...ㅋㅋ; 그렇다면 어떤 기업이 'AI'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을까요? 역시나 미국과 중국이 'AI' 분야에서도 양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를 한다면 요즘 핫한 '돼지열병 관련주' 이런거 하지 마시고 위 기업들에 적절히 분산해서 투자 하시는게 나중에 큰 도움을 되지 않을까요?...(-_-);; 국내 주식..
올해 부동산 '리츠'를 활성화 한다는 뉴스가 눈에 띕니다. 특히나 올해 '롯데리츠'가 상장될 예정이군요. 그렇다면 '리츠'란 무엇일까요? 아래에 비교적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클릭 해 보세요. 한마디로 여러명의 돈을 모아서 부동산을 매입, 또는 운영하여 나오는 수익을 나눠주는 겁니다. 부동산은 가격대가 커서 개인이 매입 또는 운영하기에는 힘들잖아요. 정부에서도 '리츠' 활성화 방안을 발표 했네요. [PDF] 리츠 공모·상장 활성화 방안 - 금융위원회 주식과 마찬가지로 부동산에 투자해서 배당금을 받는것이니 소액으로도 충분히 투자가 가능하여 월세집 주인이 될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왜 하필 지금에야 활성화 시킬려는 것 일까요? 롯데는 왜 하필 지금에야 '리츠'를 상장시키려는 것 일까요? ..
휴... 한달전 쯤에 유가가 $60은 넘어 설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그때가 $53.53정도 였었죠... 그래서 유가 상승에 베팅을 했었습니다. 계속 상승중인 '코스피' 어디까지 가려나...그리고 유가 상승에 베팅을 하다. 요즘 코스피의 상승이 무섭습니다. 쌍바닥 삼고점을 찍고 재 하락할것이라고 예상 되었습니다만... 강력한 상승 신호로 여겨지는 적삼봉이 출현함에 따라서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상승 추세는 더 이어질 것으로 예.. www.gildong.net 그러다가 두개의 유튜브 동영상을 보고, 유가상승에 베팅을 매도하고 'IHQ'를 매수 하였습니다. 유가 상승을 확신하고 있었는데도, 리스크가 큰 종목에 뛰어들었으니... 바보같은 짓이었는지, 아닌지...저도 헷갈리네요... 아무튼 주사위는 던져졌으..
글을 쓰면서 말씀 드리는 것이지만, 정말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몇주전에 유가 상승에 베팅한다고 말씀드린적이 있었는데요.. 베네수엘라 제제 문제도 있었고, OECD의 추가적인 감산 문제도 있었고... 가장 큰 이유는 Fed에서 Q4를 진행할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결국 파월의장이 Q4에 대한 언급을 했었는데요. 의외로 주식 시장은 살짝 반응 했는데, 국제 원자재 가격은 제가 생각했었던 것보다 반응이 시원치 않았습니다. 그래서 금일 '삼성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을 매도 하였네요. 대략 +5%정도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뭐..항상 그렇지만 수익에 감사 드립니다....그 누구 돈이든지...(-_-);; 그리고 다시 여러방면으로 어떤것을 매수 할 것인가를 생각 해 보았습니다 개별 종목에 ..
요즘 한국, 미국, 유럽 할것없이 주식 시장이 상당히 안좋은 상황입니다. 시장이 이렇게 안좋을 때에도 수익을 내는 사람을 '주식의 고수'라고 할수 있겠지만... 결코 쉬운일이 아니죠... 어쨌거나 2018년도 마무리 되어 가고 있고, 2019년은 희망차게 시작 해야 하겠지만, 역시나 시장은 더욱 안 좋은 상황으로 흘러 갈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일단 12월 수익을 일찍 정산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서 개인적으로 리벨런싱을 마쳤습니다. 연말이어서 술이다 뭐다 해서 모두 정신이 없을 시기 아닙니까..;;; 저도 정신이 없는 관계로 이번달은 더 이상 신경을 쓰지 못할것 같네요. 올해 주식 거래 마지막일이 28일이니 일주일정도 그냥 두어도 이번달도 목표 수익률은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듯 합니다. 참고로 이렇게 수..
현재 '현대로템'을 전량 매도 하였습니다.수익 감사합니다.ㅋ
한국 증시가 연일 하락으로 어렵습니다. 그래도 투자자는 어려운 시장에서나, 아니면 비교적 쉬운 상승장에서나, 언제나 수익을 내야 합니다. 그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현재는 어려움에 처해 있더라도 앞으로의 투자 가능성을 생각해 놓아야 하지요. 오늘은 그 2번째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을 살펴 보려고 합니다. 첫번째 '카카오'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제가 예전부터 추적해 오던 종목 이었습니다. 장래에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꾸준히 그 주가의 향방을 추적하고 있었지요. 주가를 보면 일봉 챠트로 봤을때 3중 바닥을 지지하는 가격대로 내려온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섣부르게 매수 하기에는 조금 이른것 같네요. 요즘 시장이 너무 안좋아서 말이죠. 전체 챠트로 보면 지난 1년간의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군..
오늘도 코스피 지수가 하락 마감 하였다. 연일 외국인의 매도와 중국 증시의 하락으로 '코스피'도 하방 압력을 강하게 받는 모습이다. 지금까지의 모습으로는 마치 3차 대하락을 준비하는 모습이지만, 내일부터는 횡보 내지 강보합이 형성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개인들의 피해가 너무 심하기 때문이다. 이와는 별도로 한국 증시의 개별 종목들은 이제 매력적인 가격대로 내려오기 시작한듯 보여진다. 그렇다고 해서 지금이 저점이니 매수하라고 하는것은 아니다. 단지, 반등 장세가 오면 그때서야 매수를 고려 해 볼만 하다는 얘기다. 제일먼저 '카카오(035720)'가 눈에 띄인다. 작년에도 7.8만 정도에 매수 했었던 기억이 난다. 지금 월봉 챠트로 보면 3중 바닥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내가 '카카오'를 좋아하..
얼마전에 '신한알파리츠(293940)'가 새롭게 상장 되었군요. 부동산에 개념이 별로 없어서 디테일한 정보는 드리지 못하지만 그래도 단편적으로나마 적어 보겠습니다. '리츠'라는 개념 자체가 투자자들을 모아서 부동산에 투자하여 그 이익금을 배당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리츠'에 대해서 좀 더 디테일한 개념을 잡고자 한다면 위 그림에 링크되어 있는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 '리츠'에는 공모형과 주식 종목처럼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상장리츠'가 있다고 하는데요. 공모형은 솔직히 별 매력을 느끼지 못하겠고요. '상장리츠'쪽을 살펴보면 이렇게 4종목이 있습니다. 주가의 추세는 모두 별로 좋아 보이지는 않네요. 그래서 별로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 8월에 새롭게 '신한알파리츠'가 상장 되었습니다. 아래..
'18년 10월 2일에 상장된 새로운 'ETN'이 저의 관심을 끌게 되었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21개국의 중.대형주를 추종하는 지역지수인 'MSCI EAFE LEVERAGED 2X DAILY NET' 지수를 2배로 추종하는 종목입니다. 'MSCI EAFE LEVERAGED 2X DAILY NET' 지수는 아래에서 확인 하실수가 있습니다. '아니야...나는 앞으로 미국, 캐나다를 제외한 21개 선진국의 경제가 안좋아질거 같아...' 라고 하신다면 아래의 인버스도 있으니 참고 하세요. 지수의 -2배를 추종하네요... 간혹 가다가 어떤 분들은 '와우! 지수가 빨간색이네...상승인가 보다...' 하시는데 우리와는 반대입니다...(-_-);; 상승: 녹색 하락: 빨강색 어떻게 보면 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