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같은 주식장이는 '적금'을 싫어 합니다.ㅋ 그 이상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움직이지만... 기간 정산을 하고나면...고만고만 할 때가 많이 있지요... 그래도 경제적인 지식, 주실질에 대한 노하우 등이 쌓여 간다는 위안인듯 위안아닌 이유를 대고 있지요.... 쌍팔년도 어머니들 께서는 열심히 '저축'만 해도 부자가 되던 축복받은 시절을 살아 오셨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지금 자식들에게도 노하우를 나눠주려고 열심히 잔소리(?)를 하십니다... '저축'해라...아껴써라...노오~력 해라... 어머니... 지금은 그런 시절이 아닙니다... 적금을 하려해도 은행/경제를 알아야 하고... 다양한 주식, 부동산, 보험관련 사항을 숙지해야 하는 시대인 겁니다... 안그러면 저금리 시대에 살아남기..
사실 45조 달러가 얼마정도 되는지 계산도 안되네요... 한국에서만 '가계부채'가 1,400조원을 넘어섰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사실상 언론에서 '가계부채'을 유독 강조하고 있는데, '자영업' 부채가 더 심각한 수준이라고 봅니다. 거기에 중소기업들의 부채는 얼마나 더 심할까요? 어떻게 보면 무너지지 않고 있는것이 용한것 같고요... 이말은 한번 문너지면 회복 하기가 힘들다는 겁니다... 우리는 이미 'IMF' 사태와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를 거치면서 정책적인 판단 착오와 더블어 많은 알짜 기업들을 외국 투자자본에 넘겨준 경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IMF'라는 것 자체도 미국의 입김을 많이 받고 있어서 미국의 꼭두각시라는 말을 많이 듣고 있는 기구입니다... 그런 기구에서 자신들의 정책적 오판을 인정..
헉... '코스피인버스X2'에 넣어 두었던 계좌가 드디어(?) 마이너스 전환 하였습니다.. 그래서 국내 및 국제 금융시장 동향에 대해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대표적으로 '코스피'의 경우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로 +1.54%의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 주가지수를 보면 2017년도에 2,000P 정도에서 2,500P정도로 큰폭의 상승세를 연출 했지요... 위 구간을 미증시 버블과 마찬가지로 한국 증시의 버블로 보는 의견도 많많치 않게 있습니다... 이에대한 의견의 자료로 산자부에서 발표하는 제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실상 국내의 제조업은 하락추세로 이어지고 있네요... 수출량은 반도체 및 자동차, 석유류를 비롯해서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
4년 연속 적자상태인 코스닥 상장사 11개사에 대한 투자에 대해서 주의 해야 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11개사의 종목은 아래 뉴스 링크에서 확인 하세요... 5년연속 적자시에는 실질심사 후 '상장폐지' 된다고 합니다... 보유중이거나 매수 예정이신 분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국 GM에 피 같은 국민의 세금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듯 합니다... 지원하는데 있어서 명분은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세금을 쏟아 붓는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죠. 사실상 경영자와 노동자들의 총체적인 부실로 보이는데, 왜 지원하는 겁니까? 그러면 다른 기업들도 지원을 요청하면 모두 지원 해 줄것인가요? 내가 '탕진잼'으로 대출 받아서 돈 다 써버리면, 저도 지원 해줄겁니까? '한국GM'이 철수하면 실업자가 몇 만명이 생긴다.... 이러한 논리로 지금까지 세금을 퍼 부었지만, 실제로 국민들의 삶에 나아진것은 없었습니다... 정말 짜증나네요... 자본주의의 기본적인 원칙.... 수익이 나지 않으면 망해야 한다... 망할 기업은 망해야 경제가 발전 합니다... 어휴....진짜... 세금만 꼬박꼬박 내는 ..
올해 특별한 일이 없으면 3월 19일 ~ 3월20일에 열리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 '가상화폐'의 규제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만일 가상화폐에 투자하고 계시거나, 투자 하려고 마음먹은 분들이 계시다면...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 발표하는 규제안을 보시고 투자 하시기를 바랍니다...
한국GM 군산공장이 폐쇄를 결정 했다는 뉴스가 1보로 나왔습니다... 산자부에 지원을 요청 하더니 그냥 퍠쇄 해버리는 군요...헐... 현재 한국지엠 군산공장에서는 준준형 쿠르즈와 올란도라는 다목적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차량들의 판매가 줄어들어 기업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인지... 아니면... 아래의 뉴스처럼 한국GM이 미국에 있는 본사가 이익을 착취하는 구조라서 그런지는 일개 개인이 알수는 없겠죠...쩝... 하지만, 우리는 경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투자든, 투기든...외국 자본은 주로 상생을 목표로 하고 있지는 않는다는 것... 오로지 이익이죠... 저는 사실 한국GM이 어떤 상황인지 잘 모릅니다만... 민자도로를 건설하고 유지관리 할 때를 보더라도 믿음이 가지 않는 것은 사실이지요..
몇 주 전부터 한국 주식시장의 하락에 베팅 한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2018/01/17 - [투자종목] - 주식시장의 충격을 예상하고 대비한다. - 인버스... 과연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해서 과민성 반응(?)을 보이는 군요... 지금까지 몇년동안 우리는 저금리에 적응해 있었고, 이제는 고금리에 대비해야 하는데... 아직 준비가 안되어 있다는 반증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생각보다 미국 경제가 호황이고, 임금 상승률이 생각보다 높아서 인플레이션의 우려가 있고, 이는 미 국채 금리의 상승을 불러 일으켰으며, 이는 주식의 폭락으로 이어졌다.... 라고들 하는데... 솔직히 말인지 막걸리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러한 지적이 정확하다고 해도... 지적은 후행적인 것이고...투자는 선행적인 것이라서... 굳이 원인..
최근들어서 원화가 강세를 띠고 있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작년에 원/달러 1150원쯤 이었는데, 이제는 1000원대에서 놀고 있네요... 이렇게 비교적 원화강세를 띠는 이유를 찾아 봤습니다... 환율에 투자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정보가 늦었습니다만... 한국이 캐나다와 무제한 통화스와프를 체결 했다는 뉴스가 있네요... 저의 기억으로는 작년에 중국과의 스와프가 만료되었나?? 그때쯤에 위안부 문제로 일본과의 스와프에도 문제가 있었고.... 미국과의 스와프 문제도 불확실 했을때 쯤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아마도 추측컨데, 별다른 방법이 없었던 정부에서 캐나다와 통화스와프를 맺은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캐나다와는 왜 통화스와프를 맺었을까요? 그것도 무제한으로 말이죠... 먼..
미국의 기준금리는 1.25~1.5%, 한국의 기준금리는 1.5%로 대등소이 합니다만... 일반적으로 10년물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미 10년물과 한국의 10년물 국채금리를 살펴보게 되면, 이미 금리는 역전되어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고객이 저축하는데 있어서, 국민은행과 부산저축은행에 저축 했을때 이자를 국민은행에서 더 준다는 말입니다. 보통은 안정적인 은행... 즉, 제1금융권의 은행들은 저축은행들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에 이자를 더 주지는 않지요... 그런데... 더 주게 되었다는 겁니다... 이것을 '금리역전'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고객들은 당연히 더 안정적인 국민은행이 더 많은 이자를 주게 되므로 당연히 국민은행에 돈을 입금하겠지요.. 당연한 말이지만... 미국이..
ㅁ ECONOMIC TRENDS 세계경제 동향 ㅇ (미국) 세제개혁 등으로 성장 모멘텀 강화 ㅇ (중국) 내년 완만한 성장 둔화 전망 ㅇ (유럽) 경기호조 속에 물가상승 전망 ㅇ (일본) 2분기 연속 2%대 고성장 ㅇ (브라질) 정치불확실성에도 불구 경기회복세 지속 ㅇ (러시아) 통화정책 완화 지속으로 성장세 강화 전망 ㅇ (인도)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제조업경기 호조 ㅁ MARKET WATCH 국제금융시장 동향 ㅇ (주식시장) 주요국 주가 상승 ㅇ (외환시장) 美 달러화 약세 ㅇ (채권시장) 주요국 국채금리 혼조 ㅇ (원자재시장) 국제유가, 강세기조 하 단기 조정압력 증대 ㅇ (한국물 동향) 한국 CDS프리미엄 하락 ㅇ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17년 발행액은 3년만에 $300억을 상회 ㅇ (글로벌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