헉! 속보가 떠서 소식을 전하지 않을수가 없네요. 정부에서 가상화폐 전면금지를 검토 중이랍니다. 얼마전 뉴스에서처럼 그냥 거래소 몇군데 털어서 영업정지 몇일정도로 끝날줄 알았는데 말이죠... 가상화폐 전면 금지라고 한다면... 타격이 엄청 크네요... 그만큼 정부에서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말이네요.. 비트코인 같은 가상화폐는 말 그대로 만든 목적이 탈중앙화 입니다. 그런데 화폐를 통제하고 안정화 시켜야 하는 중앙정부 입장에서는 상당히 위협적인 거래수단이 되겠죠... 중국은 이미 중지 시켰고... 한국도 거래중지 검토 중이고... 인도네시아도 내년부터 가상화폐를 전면적으로 금지시켰네요... 가만히 보면 금융 후진국들이 가상화폐를 금지 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고로 한국도 금융 후진국이라는 소리?? ..
'잃어버린 세대'라 불리는 사람들... 오늘은 그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미국에서는 '잃어버린 세대'를 1차세계대전에 환멸을 느낀 젊은이들을 말한다고 하는데요.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그 의미가 좀 다른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 LG경제연구원에서 '잃어버린 세대'에 대한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솔직히 저도 '잃어버린 세대'에 속하는 사람이어서 그런지 전에 썼던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에 대해서는 공감이 잘 가지 않았죠... 우리같은 세대에서 바라볼때에 그 베이비부머 세대의 분들은 경쟁도 치열했지만, 대부분이 산업의 발전에 따른 혜택을 만만치 않게 받아온것도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부모는 부양하고, 자식에게는 봉양받지 못하는 세대이기도 하고... 아무튼...짠하기도 하고, 부럽기도 한 세대입..
베이비부머 세대는 한국전쟁이 끝난 1953년~1963년도 출생자들을 말합니다. 일본에서는 '단카이 세대' 라고도 하지요. 이들의 은퇴가 2015년부터 시작되었다는데요...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시작 된다네요... 모두가 알고 있겠지만, 베이비부머 세대는 일종의 샌드위치 세대라고 말 할수도 있겠습니다. 위로는 부모에게 봉양했고, 자식을 위해서 노후대비를 생각하지 않고 아낌없이 투자했죠... 역설적으로 은퇴할 시기가 되니, 자식들에게 봉양받지 못하는 첫 세대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경제적으로 노후를 대비하지 못한 채 은퇴를 하다보니 생계형 자영업을 시작하게 되고, 이와중에 빚은 많아지고, 벌이는 시원찮고, 반강제적으로 시작되는 자영업 창업으로 관련지식과 열정이 부족해 많이 망하고는 합니다. 그래서 오히려 경제..
조선일보에서 의미심장한 기사가 올라 왔습니다. 오랜만에 '도봉 박홍기'님의 유튜브 채널을 보고 알았는데요... 사실 관심이 있는 분이면 누구나 알고 있을법한 사실이지만... 다시한번 짚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2018년 부동산 5대 악재를 살펴보자면... 1. 기존의 DTI에 더해서 신DTI 도입을 통한 대출규제 2. 금리인상 3. 양도소득세 강화 4.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부활 5.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미입주 사태) 이렇게 소개하고 있네요... 미국에서 발생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볼수 있듯이... 국가이든, 개인이든 신용이 제일 중요합니다... 신용이 무너졌을때 위기가 찾아오고는 했지요... 말그대로 5대악재를 살펴보고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신용의 축소' 입니다. 신용이 축..
비트코인 관련해서 시카고 선물시장에서 18일부터 선물거래가 시작되었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한국에서는 비트코인 관련 선물거래를 금지하였고, 일본은 선물거래를 추진중이라고 하네요... 선물이 나왔으니 하락에 베팅이 가능한 옵션이라든지, ETF가 조만간 나올듯 하네요... 단, 국내거래는 금지 되었으니, 한국에서는 할 수 없을듯 합니다... 물론 꼼수를 쓰면야.... 비트코인에 대해서는 여기저기 버블이라는 뉴스가 들려옵니다... 저도 현재 가격에서 비트코인에 투자하는것은 절대적으로 말리고 싶습니다만... 제가 부정적인 글을 썻던 시점부터 지금까지 대략 100%가 넘게 상승 했네요...헉!!! 대략 1비트코인에 원화로 820만원 정도였을때 글을 썼었는데... 지금 가격이 원화로 2,200만원이네요...헐헐헐~..
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보 도 자 료 보도 2017. 11. 30.(목) 석간 배포 2017. 11. 29.(수) 담당부서 일반은행국 김철웅 국장(3145-7050), 박상원 팀장(3145-7090) 제 목 : ‘17년 9월말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 1. 국내은행 현황 □ ‘17년 9월말 국내은행의 BIS기준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5.40%, 13.29%, 12.72% 수준 ㅇ ‘17년 6월말 대비 총자본비율(+0.01%p)과 보통주자본비율(△0.01%p)은 비슷한 반면, 기본자본비율(+0.03%p)은 소폭 상승 □ 이는 ‘17.3분기중 총자본증가율(+2.39%..
보 도 참 고 자 료 •생산적 금융 •신뢰받는 금융 •포용적 금융 보도 배포시 배포 2017.12.4(월) 책 임 자 금융위 전자금융과장 주 홍 민(02-2100-2970) 금융위 FIU기획협력팀장 손 성 은(02-2100-1730) 담 당 자 김 민 하 사무관 (02-2100-2972) 이 영 민 사무관 (02-2100-1722) 국조실 금융정책과장 이 동 엽(044-200-2190) 김 정 훈 서기관 (044-200-2191) 기재부 자금시장과장 고 광 희(044-215-2750) 기재부 외환제도과장 이 형 렬(044-215-4750) 기재부 금융세제과장 송 진 혁(044-215-4230) 김 채 윤 사무관 (044-215-2758) 유 예 림 사무관 (044-215-4751) 조 윤 석 사무관 (0..
국회 정무위원회가 12월 4일 전문가들과 가상통화 관련하여 공청회를 하였답니다. 요즘 비트코인이 아이들도 거래에 참여 할 만큼 인기라지요? 뭐...예전에는 증권사 객장에 아줌마들로 가득 차있으면 고점이라고 했는데...후후.. 사실 기사쓰는 기자들도 자기 얼굴 공개하고 기사를 썼으면 합니다... 기사 자체가 너무 사람들을 호도하는 느낌을 주네요... A모씨, 아이들도 비트코인 투자?? 실제로 조사는 해 본건지...전체 아동중 몇 %정도가 거래하고 있는지 등등... 이런 비교적 객관적인 근거는 하나도 없이 그냥 떠벌리는 수준이니... 믿을수가 있어야지요... 저는 이런 기사의 정보를 '오정보'라고 생각 합니다... 사람 3명이 모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들어 낼 수 있듯이, 잘못된 정보도 꾸준히 접하다 보면 머..
2000년 초반부터 '상조회사'라는 개념을 가진 회사들이 등장하기 시작 했습니다. 모두가 한번쯤은 들어 봤음직한 'ㅂㄹ상조'라는 회사도 상당히 유명했었지요... 저도 예전에 처음 알았을때에는 "아! 상당히 괜찮은 시스템을 가진 회사이구나."라는 생각을 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결국 가입을 하지는 않았습니다... 후후후... 예전부터 깨달았거든요... 아무리 시스템을 좋게 만들어도 결국...운영은 사람이 하는 것이라는 것을요... 저는 시스템은 믿되, 사람은 믿지 않습니다... 특히나, 믿음직한 시스템 위에 사람이 있다면... 대부분의 이들은 시스템만을 보고, 그 위에 사람은 보지 않더군요... 무엇이든지 어떤 편견에 사로 잡히면 시야가 극도로 제한된다는 사실도 깨달으셨으면 합니다... 오늘 뉴스가..
11월 30일 한은에서 기준금리를 1.25% -> 1.5%로 0.25% 인상하였습니다. 이로써 금리인상이 시작되었네요. 전에도 말씀드렸지만, 금리가 인상된다고 해서 결코 나쁜것이 아닙니다. 이자율도 상승할테니 연금 보유자들은 더 많은 이익이 발생 하겠죠? 물가상승도 제한 될수도 있고요... 솔직히 마트가면 몇개만 구입해도 몇만원은 훌쩍 넘어서지 않나요? 그렇지만 빚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헬이 시작된다는 것이 함정입니다. 단지...대다수가 빚이 많아서 문제가 되는것입니다..ㅠ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 또한 1.25%입니다... 현재 한국과 같습니다... 근거는 미약하지만... 과거 경험적으로 볼때 한국경제의 위기는 미국과 금리가 역전 되었을때 시작되었습니다. 70년대 있었던 2번의 '석유파동'과 1995년도 2..
당장 내년부터 IFRS9, IFRS15의 시행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그 일정과 내용에 대해서 좀더 디테일하게 말씀드려 보고자 합니다. IFRS는 재무재표의 국제적 통일성을 높이기 위해서 공표하는 회계기준이다... 라고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예를들어, 내가 싱가폴의 한 은행이나 기업에 투자하고 싶은데... 각 나라의 회계기준이 달라서 싱가폴의 은행이나 기업에 대한 투자적합성을 판단하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자는 것이죠... 모든 회계기준이 통일되면 한국에 살고있는 개인도 싱가폴의 은행 또는 기업이 좋다, 나쁘다를 판단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문제는 이렇게 회계기준이 투명해 진다면, 지금까지 부실을 감춰왔던 관행이나 고의적인 회계가 고스란히 들어 난다는 겁니다... 사실 한국이 기업 회계에 있어서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