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제주도에 500여명의 난민이 몰려 왔답니다. 이로인해서 나라가 너무 시끄러운데요... 개인적으로 민주적인 정치범, 노약자, 어린이, 여성, 가족등의 난민을 일정 수준으로 받아들이는 데에는 저도 찬성합니다만... 화면에 나오는 사람들은 모두가 남자 뿐이네요... 정상적인 난민이 500명이 몰려 왔는데 모두가 남자일 확률이 도대체 얼마일거라고 생각 하나요? 화면을 보고 내가 드는 생각은 이렇습니다. "난민도 비지니스다..." 1인당 300~500만원의 소개비를 받았다네요..헐... 그렇다면 제주도에 몰려 온 자칭(?) 난민이라는 사람들은 전쟁중인 예멘에서 도망쳐 나왔는데... 부모도 버리고, 어린 자식도 버리고, 마누라도 버리고 여성과 노약자는 모두 버리고 왔다는 말이네요??? 그렇다면 그런 인성을..
토렌트를 사용하면 파일을 서로 주고 받기 때문에민감한(?) 파일이나 저작권이 걸려있는 파일을 받을 때법적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파일을 주고 받을 때내 IP가 노출되기 때문인데요... '큐빗토렌트'를 사용하면 그점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 하시면'큐빗토렌트' 다운로드 사이트도 있으며설명대로 옵션을 셋팅 해 주시면 됩니다.
징기스칸의 명언 집안이 나쁘다고 탓하지 말라.나는 아홉살에 아버지를 잃고 마을에서 쫓겨났다. 가난하다고 말하지 말라.나는 들쥐를 잡아먹으며 연명했고목숨을 건 전쟁이 내 직업이고 내 일이었다. 작은 나라에서 태어났다고 말하지 말라.그림자 말고는 친구도 없었고병사로만 10만, 백성은 어린애, 노인까지 합쳐서 2백만도 되질 않았다. 배울게 없다고 힘이 없다고 탓하지 마라.나는 내 이름도 쓸 줄 몰랐으나남의 말에 귀 기울이면서 현명해지는 법을 배웠다. 너무 막막하다고 그래서 포기 해야겠다고 말하지 말라.나는 목에 칼을 쓰고도 탈출했고뺨에 화살을 맞고 죽었다 살아나기도 했다. 적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었다.나는 내게 거추장스러운 것은 깡그리 쓸어 버렸다.나를 극복하는 그 순간,나는 징기스칸이 되었다..
요즘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뒤숭숭한 상황이라서 '인버스'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만... 아래 '코스피', '코스닥' 종합 챠트를 보면 느끼시겠지만 좀 애매한 상황입니다... 저는 특히나 '인버스'중에서도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에 관심을 두고 있어서 '코스닥' 종합 챠트를 살펴 보는데요. 애매하지요? 챠트상으로는 4중지지를 받는 모습입니다... 그런데 대내.외 적으로는 상당히 안좋은 상황이지요. 미중 무역전쟁 우려로 이미 미국 '나스닥'은 이틀째 하락하고 있고, '코스닥' 또한 생각했던 V자 반등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누가 그랬던 것처럼 상승할 모멘텀이 없다는 것이 이유일듯 합니다. 눈치를 보고 있다고 해야 할까요? 중국의 경제 둔화 및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수출 감소로 가장 타격을 입을곳..
유튜브를 보다가 저는 지금 알았습니다.진정한 맛 평가사는 따로 있었다는 것을요... 요즘 다시 활동 하시는거 같던데,이러한 컨셉으로 유튜브에서 활동하셔도 좋을듯 합니다. 컨셉 제대로네요..ㅋ
자본주의에서 은행이란 안전성이 우선입니다. 그다음이 신뢰성이죠. 내가 예금 했을때 바로 출금할 수 있다는 믿음... 이 믿음을 한국의 은행들은 땅바닥에 패대기 쳤네요... 세상이 미쳐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금융 부분에서 최후까지 '안전'과 '신뢰'를 보장해 주어야 하는곳이 '은행'인데 말이죠... 대출 해 주면서 신용 점수를 높여서 '대출이자'를 낮출 수 있는 항목들을 고의로 누락시켜 '대출이자'를 높이다니..허허허... 위 기사 내용이라면... '경남은행'은 거의 막장 수준이네요... 이게 환급으로 끝날 문제인가요? 징벌적인 벌금을 징수 해야죠. "내가 말이지...사기를 쳤어..." "그런데 아이쿠...걸렸네?" "미안...사기 친 돈만 돌려주면 된다네...ㅋ" 한국 자본주의에 가장 문제점 중에 한가지..
미중간 무역전쟁이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처음에는 트럼프가 또 블러핑 전략을 쓰는 건가?라는 의심이 들었습니다만... 점차적으로 현실이 되어 가고 있네요... 더구나 중국만을 노리는 것이 아니고 한국, 캐나다, 호주등의 우방국은 물론이고 유럽까지 무역전쟁에 끌어들이는 모양세입니다. 중국은 이에 대비해서 지준율 인하로 시중에 돈을 풀고 있고 미국 기업들이 행동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트럼프'는 왜 이러는 걸까요? 구글링으로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이유때문일 거라는 추측이 가능합니다. '트럼프'는 올해 11월에 현 정부의 평가형식을 띄고 있다는 중간선거를 치뤄야 합니다. 얼마전에 한국에서 치뤄진 '전국동시지방선거'와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한당이 쫄닥 망했죠?...그..
처음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상장되었을 때에는 이정도로 주가 상승을 보여주지는 못 할것으로 생각 했었습니다. 횡보나 약간의 우상향을 예상 했었지요... 2018/01/17 - [투자종목] - 2018년 먹거리는 DNA 스토리지 관련주일까나?? - 삼성바이오로직스, SK케미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꾸준한 주가 상승을 보면서 다시한번 한국 주식 시장이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지를 깨달았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금감원에서 제기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문제는 아래의 유튜브 동영상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겁니다. 삼성은 '제일모직(삼성애버랜드)'와 '삼성물산'의 합병 과정에서 특정인의 지분을 높이기 위해서 '삼성물산'의 가치를 낮추고 '제일모직(삼성에버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으로 사용 했다..
요즘은 맘 놓고 자격증 공부를 하느라 신경을 많이 못 썼습니다. 그 시간동안에 많은 일이 있었더군요... 그러한 것은 나중에 생각 하기로 하고... 아래의 기사를 보면서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어서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현재 시점에서 대한민국은 과연 선진국인가? 우리를 바라보는 해외에서의 시선은 어떤것인가? 라는 의문 말이죠. 우리는 한국 내에서 주로 언론인들의 의견만을 듣고 보기 때문에 어찌보면 상당히 왜곡되고 취약하며, 그들의 이익에 따라서 가공된 정보만으로 우리의 생각을 세뇌(?) 당하며 살고 있습니다. 저만해도 영어가 좀 되면 괜찮을 것인데, 거의 문외한이니 알찬 정보를 취득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지요... 며칠전에는 모건스탠리에서 발표된 'MSCI 연례시장 재편' 에서 한국이 빠졌다는..
미국에서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비교적 체력이 떨어지는신흥국들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바로 터키,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페루, 브라질 입니다. 98년 외환위기는 태국이 위기를 겪으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거의 정설입니다. 아르헨티나, 페루, 브라질쪽은 뭐...재네들은 70년대부터도 위기를 겪어왔지만우리로서는 경제권에 묶여 있지도 않고크게 상관도 없는터라 강건너 불구경이 었지요... 그런데 98년도 태국은 달랐습니다.태국이 어려워지자 비슷한 급으로 취급 받았던 한국도덩달아 위기를 맞았지요... 우리는 아니라고 항변 했겠지만...월스트리트에 있던 애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나 봅니다..ㅠ 터키는 좀 그렇다 치더라도인도네시아는 같은 아시아권에 묶여 있어서 이번에는 어찌될지 심히 궁금하네요... 다른 국가는..